Author: 김근홍

  • 이나 Simple mellow 게시판 스킨 배포(v1.0.1)

    원본 배포 게시글은 여기입니다(v1.0.0). 다운로드는 GitHub에서 하시면 됩니다. 아래 환경에서 작동을 확인했습니다. v1.0.1의 변경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작자의 희망을 고려하여, 라이선스는 Rhymix와 동일한 공개 라이선스인 GPLv2로 배포합니다. 추가적으로 수정하여 배포하시고 싶은 분은 “재배포, 재수정 가능. 단, 수정 후 재배포 시 제작자 이름을 마음대로 삭제하지 마세요. 수정자 이름만 옆에 추가하세요.” 라는 원작자의 조건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코드 정리가…

  • 60년대 중반 치프라의 새 녹음 프로젝트

    60년대 중반은 그의 연주 커리어에 있어서 일종의 전환기였던 모양이다. 1961년 1월 반데누트와의 리스트 1번 녹음과 2월 멘델스존 소품 녹음 이후로 EMI와의 녹음기록은 당분간 없게 된다. 그러다가 1962년 4월 쇼팽 연습곡 전곡과 왈츠 전곡 녹음을 시작으로 Philips와의 녹음을 시작하지만 그 관계는 1963년 4월까지 리스트, 쇼팽 녹음들을 끝으로 오래 가지 않는다. 이후 1964년에는 모노시절 데르보와 했던 리스트…

  • “괴짜 경제학”을 읽고

    극찬을 받았다는 설명에 비해서는 실망하기 쉬운 내용이지만, 정보경제학의 내용과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하는 경우 등을 일반인의 관심도가 높을만한 현실의 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흥미롭다. 음. 어쩌면 매일같이 정보 비대칭의 예시로 중고차 시장을 보는 데 질렸다면 잠시 읽어볼 만 할 것 같다. 흥미로운 관점이기는 하지만, 그리고 책이 발표될 당시에는 더욱 흥미로웠겠지만.. 조금 더…

  • “불가능은 없다”를 읽고

    이 책은 다루는 이론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가볍게 읽을만한 과학 교양서로, 두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2009년에 쓰인 책이라는 것, 둘째는 그림이 없다는 것. 저자도 책에서 스스로 언급했듯이 시각화는 어떠한 개념이나 이론의 이해에 꽤나 큰 도움을 준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내용을 다루기에는 제작비와 노력이 심각하게 많이 들겠지만 영상매체가 훨씬 완성도 높고 감동적일 것 같다. 좋은 점은…

  • [2017-B-6] AD-AS모형

    문제 다음 그래프는 한 폐쇄 경제 국민 경제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해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5점] * 명목임금은 단기에서 경직적이며, 단기를 벗어나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SAS0는 단기 균형점 E에 도달할 때까지의 명목 임금 수준에 대응되는 단기 총공급 곡선이다. 국민 경제의 완전 고용 산출량 수준은 Y1이다. <작성 방법> ○ 한 해 동안 물가…

  • [2014-A-기입7] 거시경제 모형 계산

    문제 다음은 폐쇄 거시 경제 모형이다. 이자율이 5%로 유지될 경우 잠재 총생산을 달성하기 위한 정부 지출 규모는 얼마인지 쓰시오. [2점] C/Y = 0.8-0.3(R-0.03) I/Y = 0.2-0.7(R-0.03) Yf = 2조 달러 (여기서, C는 소비, Y는 총생산, R는 이자율, I는 투자, Yf는 잠재 총생산을 나타낸다.) 풀이과정 우선 C/Y와 I/Y 식의 양변에 각각 Y를 곱해준다. C = 0.8Y…

  • 대입제도의 문제점

    https://news.v.daum.net/v/20211220211600682 수능의 창시자인 박도순 명예교수는 수능 제도를 이대로 존치시키면서 조정을 통해 개선 방안을 찾는 방식에 대해서는 “문제의 본질이 시험이 아니라 입시경쟁, 구체적으로는 대학 서열화와 학벌중심 사회이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한다. 그런데 그러면서도 서열화와 학벌사회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대학의 학생 선발에 있어서 자율권 강화를 제시한다. 그런데 과연 어떻게 이런 방법으로 대학서열화를 타파할 수 있을까? 이미 대도시 및…

  • “습관의 힘”을 읽고

    나는 같은 저자의 <1등의 습관>을 읽은 뒤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그 책에서 느낀 점과 이 책에서 느낀 점은 어떻게 더 효과적으로 살아갈 수 있을지 접근하는 방향이 비슷하면서도 약간 다르다는 것이다. 어쨌든 이 책의 핵심은 어떻게 나쁜 습관을 교정하고, 좋은 습관을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일반론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짧게 이야기하면, 모든 습관은 자극 –…

  • “제가 한번 해보았습니다, 남기자의 체헐리즘”을 읽고

    지난 몇 년간 포털이 자주 추천해주던 기사(에세이)의 모음집이 출간된 지 시간이 많이 흘렀다. 언제 한 번 읽어야지 생각만 하다가 1년이 넘게 지난 것이다. 이 에세이 시리즈의 모든 내용이 좋다고 말하지는 않겠지만, 생각할 주제를 실제로 한 발이라도 걸쳐보고 그 체험을 공감할 만한 어투로 전달해주는 것에는 탁월하다. 그 주제들이 의상에 대한 고정관념부터, 무연고자의 장례, 특정 세대나 직업의…

  • [2021-B-7] 국제무역

    문제 다음은 갑국의 교역 전후 상황에 대한 자료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그림은 두 재화 X재, Y재에 대한 갑국의 생산 가능 곡선을 나타낸다. 현재 A에서 생산 및 소비를 하고 있는 갑국은 비교 우위가 있는 재화에 특화하여 교역에 참여하기로 하였다. 해외 시장에서 X재와 Y재는 1:2의 비율로 거래되고 있고, 갑국이 교역에 참여하더라도 해외 시장에서 거래 비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