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드라마 “Mentalist”의 Patrick Jane이나 영국 드라마 “Sherlock”의 주인공 등에서의 엄청난 기억력이나 기억기술에 관한 묘사는 일반인들에게 그들을 신과 같은 능력자로 비춘다. 현실에도 후천적인 노력으로 그와 같은 경지를 이루는 사람들이 있고, 그 중 어떤 한 사람이 자신이 사용하는 여러 기술을 모아둔 것이 이 책의 내용이다. 다만 나는 초반부만 읽었는데도 흥미가 대단히 감소하여 뒷부분은 쓱 훑어보는데 그치게 되었다. 나 자신도 물론 훌륭한 기억력을 가지고 싶고, 또한 나중에 학생들에게도 이를 가르쳐주고 싶기 때문에 처음에 큰 흥미를 가지고 읽었던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였다.
그 이유는 책 초반부의 다섯 가지 간이 기억 테스트였다. 90점 만점 중 87점을 획득했는데, 이는 자랑하려고 쓴 점수가 아니고, 책 후반부에 나올 여러 기억술들이 결국은 인지처리과정의 기본을 돕는 하나의 방법밖에 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특히나 그 테스트들은 잠시간의 단기기억만 테스트할 뿐 우리가 진정 필요한 장기기억 전략과는 딱히 연관성이 없었다.
어떤 정보를 암기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첫째, 그 정보들을 결국은 얼마나 내가 그 정보를 이해하고 기존 지식과 연결하고 재분류하는 등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느냐 여부고, 둘째, 그 과정을 얼마나 반복할 수 있고, 또 어느 주기로 반복할 수 있느냐에 따라 기억의 유지율이 결정된다. 이는 심리학의 인지주의 학습이론 중 정보처리이론에 근거한다. 해당 이론의 핵심은 첫째 주어진 정보에 주의를 집중해서, 둘째 그 정보의 의미를 해석하고 또는 의미를 부여하며, 셋째 반복의 과정을 통해서 지각한 정보를 머릿속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시연의 과정에서 부호화를 얼마나 적절한 전략을 통해서 할 수 있으며, 얼마나 일정 주기로 반복해서 할 수 있느냐가 장기기억으로의 성공적인 저장 및 인출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결국 기억의 원리는 간단하다. 정보를 지각하고, 이해 및 분류하고, 그것을 적절한 전략을 택해 지속적으로 상기하는 것이다. 내 경우는 정보를 접하면 분류하거나, 두드러지는 특징을 기억하고, 속으로만 생각하는 것 뿐만 아니라 혼잣말과 신체적인 동작 등을 함께 해보며 다양한 감각으로 정보를 기억하도록 하는 정도가 개인적인 전략이다. 거기에서 더 나아가 어떤 학문적인 내용을 공부할 경우에는 나만의 이야기를 흐름을 만들거나, 목차를 어떻게든 먼저 외우거나, 머릿속에서 내가 해당 정보를 사용할 실제 상황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굉장히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고, 개중에서는 꽤 복잡한 방법들이 있다. 즉 내가 말한 것들보다 더 창의적일 것과, 더 노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이 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기억술은 당연하지만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그 기술을 이해하려고 시간을 쓰고, 연습하려고 시간을 쓰고, 반복하여 노력하는 데에는 굉장한 시간을 써야 한다. 그런데 우리가 살아가면서 이 책의 저자처럼 단순한 정보를 굉장히 빠르게 암기해야 할 일은 거의 없다. 만약 직업상 그래야 하는 사람이라면, 많은 노력이 동반된다면 굉장한 도움이 될 책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그렇지 않을 것 같다. 수험생 입장에서도 비효율적이지 않을까? 이러한 내 의견은 이미 다양한 기억술을 익힌 사람의 노력을 비하하려는 것이 아니라, 새로 시작할 사람들에게 내가 외워야 할 정보의 유형과 내가 익히고자 하는 기억술의 방향을 잘 맞춰서 선택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에 가깝다. 그 책에 나오는 모든 기억 기술을 연습할 필요는 당연하게도, 없다. 본인의 흥미를 위한 것이 아니라면.
Leave a Reply